array 배열 : 같은 타입의 여러 데이터를 모아서 순서대로 저장한다.
한번 만들어지면 크각 고정되며 크기가 넘어서면 error.
ArrayList<타입> 클래스 : 지정된 타입의 여러 객체를 모아서 순서대로 저장한다.
크기가 몇개일지 모를때 주로 사용한다.
기본으로 10칸이 생성되며 부족할 때 마다 *2씩 늘어난다.
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공간은 줄일수도 있다.
ArrayList<타입> 이름 = new ArrayList<타입>();
이름.add(값); // 값을 추가, 추가한 순서대로 배열에 저장
이름.size(); // ArrayList객체 안에 저장된 데이터의 갯수
이름.remove(배열번호); // 해당 배열번호의 값을 삭제
메서드에서 return값으로 사용할 때
return 이름.remove(배열번호); //해당 배열번호의 값을 리턴하고 배열에서는 삭제
ArrayList<String> list = new ArrayList<String>(); //문자열만 저장하는 list 생성.
list.add("A"); //문자열 "A"를 리스트에 추가
String 문자열 비교
정수를 비교할 땐 == != 등으로 값을 비교 할 수 있지만
문자열은 값이 아니라 주소값으로 비교되기 때문에 같은 문자열이더라도 주소값이 다르면 결과가 다를 수 있다.
equals(String str) : 문자열 비교
indexOf(String str) : 주어진 문자열이 시작하는 인덱스를 반환한다. 없다면 -1을 반환한다.
주어진 문자열의 유무 판단시 사용
subString(int begin, int end) : begin인덱스부터 end인덱스 앞까지 추출한다.
subString(int begin) : begin인덱스부터 끝까지 추출한다.
compareTo(String str) : 두개의 값을 비교하여 int값으로 리턴해주는 함수
같으면 0, 비교할 글자가 사전상 앞에있으면 음수, 뒤에있으면 양수를 리턴한다.
아스키코드값으로 비교한 후 리턴된다. 공백 < 숫자 < 대문자 < 소문자 < 한글 순
split(String regex) : 주어진 구분자로 문자열을 나눠 String[]을 만든다.
length() : 문자열에서 문자의 갯수
bytes() : 문자열을 바이트 배열로 변환한다.
valueOf() : 어떤 타입이든 받아와서 String으로 바꿔준다.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Class 클래스, java.util 패키지, 제네릭<> (0) | 2021.12.22 |
---|---|
Java Class Math, Wrapper, 참조형형변환 (0) | 2021.12.06 |
Java final, 추상(abstract)메서드, interface (0) | 2021.12.06 |
Java 상속, 오버라이딩, 업캐스팅, 다운캐스팅, Object클래스 (0) | 2021.12.02 |
Java 배열, 랜덤 (0) | 2021.11.30 |